바롬인성교육

1. 생활학습공동체교육 『바롬인성교육』 교육철학 및 교육이념

  • 인성교육 공동체로서의 생활학습공동체교육(Inkelas et al., 2018): 생활단위가 곧 학습단위로 수업 현장과 일상생활 공간 모두가 인성공동체임.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을 공동체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경험을 가짐으로써, 학생들은 삶의 다른 영역에서 생활학습공동체에서 배운 것을 적용할 수 있음
  • 서울여자대학교 건학이념의 근간을 이루는 실천중심의 전인교육을 생활학습공동체교육 방식으로 구현함. 즉, 앎을 실천하는 통합교육으로, 직접 체험하고 성찰하고 그리고 변화를 이끄는 교육 방식임(고황경, 1972; 파머, 2005; Davidson & Lickona, 2005)

[그림 1] 2025학년도 생활학습공동체교육 『바롬인성교육』 모형
[그림 2] 2025학년도 1학기 『바롬인성교육』 수업 구성
수업별 주제명 및 구성
공통 수업1 오리엔테이션 (수업 안내 및 팀 빌딩)
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(수업 마무리 및 공유회)
수업6 수업3 수업4 수업5
주제 수업2 수업3 수업4 수업5
1) 아트모션
(예술과 놀이)
그림으로 만나는 나 음악과 이야기가 있는 토크 콘서트 함께하는 스토리텔링 게임 작은 조각 큰 연결,
우리가 만드는 변화
① 셀프 포트레이트 (Self-Portrait)
② 협동화 (collaborative art)
① 사랑의 가치
② 감정 표현과 리더십
- TRPG
(Tabletop Role-Playing Game)
- 도미노 게임
2) 미인-아름답다
(미디어&안녕, Me In, 美人)
나의 발견:
디지털 페르소나와 프로필
관계의 발견:
디지털 지도에서 만나는 너와 나, 그리고 우리
공동체 가치의 발견:
슈니들의 쇼츠 1
공동체 가치의 발견:
슈니들의 쇼츠 2
① 나의 디지털 페르소나
② 나프(나의 프로필) 디자인
③ 성찰 엽서
① 커넥팅 바롬 타입
② 슈토리(슈니들의 스토리) 맵스
③ 성찰 엽서
① 너의 이름은
② 슈쇼(슈니들의 쇼츠) 기획안
③ 성찰 엽서
① 슈쇼(슈니들의 쇼츠) 제작
② 성찰 엽서
3) 쉼과 숨 쉼과 숨으로 여는 나의 이야기 쉼과 숨으로 만나는 진정한 나 우리 속의 같은 쉼, 다른 숨 쉼과 숨이 빚어가는 공존
① 쉼과 숨의 리듬
② 자화상 그리기
③ 침묵산책
① 쉼과 숨의 리듬
② 나의 인생매체
③ 나의 강점 찾기
① 쉼과 숨의 리듬
② 강점샤워, 성장 한 스푼
③ 함께 산책
① 쉼과 숨의 리듬
② 같은 순간, 다른 선택
③ 공감의 기록

 

 

2. 『바롬인성교육』 교육목표 및 수업목표

『바롬인성교육』 교육목표
공동체에서 자신을 통찰하고, 타인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
공동체의 성장을 위한 실천 의지를 함양한다.
수업 주제 수업목표
수업 1 오리엔테이션 바롬인성교육의 목표와 수업의 목표를 설명할 수 있다.
나다움으로의 여행 슈미션 활동 목표와 방법에 대해 이해한다.
(공통) 교수자와 동료 학생 간의 상호 활동을 통해 분반에 대한 소속감을 형성한다.
수업 6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교육기간 동안 본인 분반과 다른 분반의 전시물 감상 및 체험활동을 통해, 다양한 나다움과 공동체성을 이해한다.
(공통) 향후 지속될 나와 학우들의 ‘나다움으로의 여정’을 응원하고 격려한다.
1)아트모션
구분 수업 2 수업 3 수업 4 수업 5
주제 그림으로 만나는 나 음악과 이야기가 있는 토크 콘서트 함께하는 스토리텔링 게임 작은 조각 큰 연결, 우리가 만드는 변화
수업 목표 ▪ 자기를 아는 리더는 자기 이해와 자기 사랑으로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을 이해한다.
▪ 자화상을 그리고 자기를 있는 그대로 수용한다.
▪ 협동작품으로 타인과 다른 나만의 개성을 발견한다.
▪ 사랑의 가치를 탐구하고, 타인을 있는 그대로 이해한다.
▪ 타인에게 힘(Empowering)을 주는 리더는 자신과 타인, 사랑이 기본임을 인식한다.
▪ 음악은 감정이나 사상(이야기)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임을 체득한다.
▪ 공동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한다.
▪ 공동체 활동을 통해 팀워크와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체득한다.
▪ 타인과 협력하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공동체 문제를 해결한다.
▪ 공동체 활동을 통해 팀워크와 협력의 중요성을 체험한다.
▪ 리더십과 소통능력을 발휘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.
▪ 도전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며 회복탄력성을 함양한다.
2)미인
구분 수업 2 수업 3 수업 4 수업 5
주제 나의 발견: 디지털 페르소나와 프로필 관계의 발견: 디지털 지도에서 만나는 너와 나, 그리고 우리 공동체 가치의 발견: 슈너들의 쇼츠 1 공동체 가치의 발견: 슈너들의 쇼츠 2
수업 목표 ▪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자아 정체성을 탐색한다.
▪ 디지털 페르소나를 바탕으로 진정성 있고 창의적으로 자신을 표현한다.
▪ 자아 탐색과 표현 과정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, 디지털 환경에서 건강한 정체성을 형성한다.
▪ 디지털 지도를 활용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이름 통해 타인과 소통한다.
▪ 디지털 지도에서 타인의 이야기를 발견하며 공감하고, 차이를 이해하며 상호작용을 강화한다.
▪ 디지털 지도를 매개로 선후배 간의 소통을 촉진하고 공동체 가치를 공유하며 확산한다.
▪ 공동체의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, 이를 미디어를 통해 표현하는 기획 능력을 기른다.
▪ 팀 프로젝트 활동 통해 협업 능력과 창의성을 강화한다.
▪ 기획한 숏 비디오를 제작하며, 팀워크와 창의성을 발휘한다.
▪ 미디어를 활용해 공동체의 가치를 표현하고, 공동체에 참여한다.
3)쉼과 숨
구분 수업 2 수업 3 수업 4 수업 5
주제 쉼과 숨으로 여는 나의 이야기 쉼과 숨으로 만나는 진정한 나 우리 속의 같은 쉼, 다른 숨 쉼과 숨이 빚어가는 공존
수업 목표 ▪ 과거, 현재, 미래의 자화상 그리기를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.
▪ 자신에게 집중하는 산책 시간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한다.
▪ 나의 인생 작품을 통해 자신과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이해한다.
▪ 나의 대표강점을 발견하고,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한다.
▪ 나의 대표강점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적용계획을 세우고 실천한다.
▪ 공동체 생활 속에서 타인의 감정을 관찰하면서 타인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힌다.
▪ 공동체 내의 다양성을 수용하고, 다름 속에서도 함께 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.
▪ 팀 활동을 통해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나의 책임과 역할에 대해 이해한다.
▪ 나와 우리의 선택이 개인과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.
▪ 이러한 선택이 나다움, 우리다움, 그리고 공동체의 방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해한다.